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올해 사과 주산지의 꽃눈분화1)율이 평년보다 낮고 지역 간 차이도 크다며 가지치기에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8일간 6개 사과 주산지2)를 조사한 결과, ‘홍로’ 품종은 평균 65%, ‘후지’ 품종은 평균 58%의 꽃눈분화율을 보였다. * 평년(2013∼2017, 5년) 꽃눈분화율: 홍로 70%, 후지 64%
'홍로'는 경북 군위(72%), 경남 거창(71%), 전북 장수(75%)에서 평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경북 영주(64%)‧청송(50%), 충북 충주(58%)에서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후지'는 경남 거창(70%) 외의 다른 지역은 모두 평년보다 낮았다. 이는 지난해 7월과 8월의 폭염으로 꽃눈분화가 잘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지난해 많은 열매가 열린 나무도 30% 정도만 꽃눈을 형성했다.
꽃눈분화율은 지난해 나무의 관리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열매가 알맞게 열리고 잘 자란 나무는 꽃눈분화율이 높다. 반면, 잎이 일찍 떨어진 과원, 열매가 많이 열렸거나 지나치게 잘 자랐던 과원은 꽃눈분화율이 낮게 나타난다. 꽃눈이 적게 형성된 상태에서 가지를 많이 쳐내면 열매 맺는 비율도 적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꽃눈이 많이 형성됐을 때는 열매를 솎아내는 노력도 필요하므로 가지치기를 많이 해야 한다.
꽃눈분화율을 조사할 때는 중간 정도 세력의 나무 중 눈높이의 가지에서 50∼100개의 눈을 채취한다. 날카로운 칼을 이용해 세로로 2등분하고 돋보기나 확대경으로 분화를 판단한다. 이때 65% 이상의 분화율을 보인다면 가지를 많이 쳐내고, 60∼65%라면 평년 수준을 유지한다. 60% 이하일 때는 열매가지를 많이 남겨야 안정적인 결실을 확보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박교선 소장은 "올해는 어느 해보다 농가 간 꽃눈분화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량을 확보하고, 열매를 솎아 내는 데 드는 노동력 부담을 덜기 위해서라도 꽃눈분화율 결과를 확인한 다음 가지치기 정도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사과농사에 참고 하세요
GAP 컨설팅 지침서.pdf
4459KB사과농사에 참고하세요
과원 토양관리.pdf
41351KB정혜웅 교수님이쓴 책입니다.
나도잘할수 있다..pdf
5406KB공부방에 과수, 사과를 검색하시면 동영상 자료 무지 많습니다.
http://www.gbtv.go.kr/web/page.html
주소를 클릭해주세요
사과 자가육묘 기술교육자료 입니다.
자가육묘 기술교육.hwp
59358KB연시총회 교육 세형방추형 3.xlsx
142KB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o/vodPlay.ps?mvpNo=331
주소를 클릭 해주세요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o/vodPlay.ps?mvpNo=335
주소를 클릭해 주세요
6개 주산지 평균 분화율, 평년보다 낮고 지역 차 커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올해 사과 주산지의 꽃눈분화1)율이 평년보다 낮고 지역 간 차이도 크다며 가지치기에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8일간 6개 사과 주산지2)를 조사한 결과, ‘홍로’ 품종은 평균 65%, ‘후지’ 품종은 평균 58%의 꽃눈분화율을 보였다.
* 평년(2013∼2017, 5년) 꽃눈분화율: 홍로 70%, 후지 64%
'홍로'는 경북 군위(72%), 경남 거창(71%), 전북 장수(75%)에서 평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경북 영주(64%)‧청송(50%), 충북 충주(58%)에서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후지'는 경남 거창(70%) 외의 다른 지역은 모두 평년보다 낮았다. 이는 지난해 7월과 8월의 폭염으로 꽃눈분화가 잘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지난해 많은 열매가 열린 나무도 30% 정도만 꽃눈을 형성했다.
꽃눈분화율은 지난해 나무의 관리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열매가 알맞게 열리고 잘 자란 나무는 꽃눈분화율이 높다. 반면, 잎이 일찍 떨어진 과원, 열매가 많이 열렸거나 지나치게 잘 자랐던 과원은 꽃눈분화율이 낮게 나타난다. 꽃눈이 적게 형성된 상태에서 가지를 많이 쳐내면 열매 맺는 비율도 적어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꽃눈이 많이 형성됐을 때는 열매를 솎아내는 노력도 필요하므로 가지치기를 많이 해야 한다.
꽃눈분화율을 조사할 때는 중간 정도 세력의 나무 중 눈높이의 가지에서 50∼100개의 눈을 채취한다. 날카로운 칼을 이용해 세로로 2등분하고 돋보기나 확대경으로 분화를 판단한다. 이때 65% 이상의 분화율을 보인다면 가지를 많이 쳐내고, 60∼65%라면 평년 수준을 유지한다. 60% 이하일 때는 열매가지를 많이 남겨야 안정적인 결실을 확보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박교선 소장은 "올해는 어느 해보다 농가 간 꽃눈분화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량을 확보하고, 열매를 솎아 내는 데 드는 노동력 부담을 덜기 위해서라도 꽃눈분화율 결과를 확인한 다음 가지치기 정도를 결정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
1) 식물체가 자라는 데 필요한 영양, 기간, 기온, 일조 시간 따위의 조건이 갖춰져 꽃눈을 형성하는 것
2) 경북 군위‧영주‧청송, 경남 거창, 전북 장수, 충북 충주
[참고자료] 사과주산지별 꽃눈분화율 조사 결과
[문의]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장 박교선, 권헌중 연구관 054-380-3150
https://www.youtube.com/watch?v=b7r_2PA4NhU
https://www.youtube.com/watch?v=oNn7M4V3ln8
주소를 클릴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npD4mnErEAE
주소를 글릭해 주세요!